제로페이 가맹점 쉽게 찾기
안녕하세요. 앞에 포스팅에서 제로 페이에 쉽고 자세하게 설명을 진행했습니다. 제로 페이의 혜택과 용어정리는, 앞 포스팅 그것이 알고 싶다 제로 페이 포스팅 관련 글을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제로 페이는 앞서 말씀드렸다 싶이 체크카드처럼 본인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QR 코드로 결제를 진행하는 결재 서비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제로 페이 결재 서비스가 현재까지는 신용카드처럼 일반 가맹점에서 보편화가 되어 있진 않습니다. 때문에 제로 페이 가맹점으로 지정된 곳을 직접 찾아봐야 되는데, 생각보다 번거롭고 쉽지가 않습니다. 때문에 조금 더 제로 페이 가맹점을 쉽게 찾고 평상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하우들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① 네이버 지도 맵에서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일반적으로 길을 헤매거나 길 경로를 검색 시, 국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선호하는 지도 맵 어플이 네이버 지도 어플이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편리성을 위해서 제로 페이 가맹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네이버 지도 어플을 설치 후 제로 페이 가맹점이라고 검색을 하게 되면 해당 제로 페이 가맹점들이 맵에서 아래 그림처럼 다양한 가맹점들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점을 누르게 되면 제로 페이 가맹점이라는 문구를 명확하게 볼 수 있으니 네이버 지도 앱을 잘 활용하시면 보다 제로 페이 가맹점을 현재 주위에 필요시 빠르게 가맹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 어플에서 제로페이 가맹점 검색 결과 >
많은 분들이 네이버 지도 어플을 제외하고, 카카오 지도 맵 어플(다음 지도 어플) 또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 맵 지도에서는 아래와 같이 제로 페이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맵으로 정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카카오 지도에서는 제로페이 가맹점이 2020.04.13 기준으로 검색이 불가>
② 제로페이 가맹점 사이트 직접 검색 & 팁
▶ 제로페이 가맹점 사이트 검색 : https://www.zeropay.or.kr/main.do?pgmId=PGM0081
제로 페이는 서울에서만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제로 페이는 전국 가맹점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에서 전국적으로 현재 가맹점으로 되어 있는 지점들을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지역 및 가맹점명 업종으로 분류를 해서,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맹 사이트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으나, 생각보다 많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 바로 가기 주소를 아이콘으로 만들어서 접속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제로페이 가맹점 사이트 인터넷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익스플로러 버전]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를 직접 검색할 때 홈페이지를 직접 들어가서 매번 확인하는 건 너무 불편합니다. 따라서 각자 사용하시는 인터넷 어플에서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인터넷 바로 가기로 아이콘을 만들어 놓으면 손쉽게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제로 페이 가맹점 사이트 웹사이트 핸드폰에서 접속 → 현재 페이지 추가 → 바로 가기 아이콘 이름 저장 → 아이콘 생성 확인 및 아이콘 위치 이동
서울 재난 긴급 생활비 제로페이 관련 정보
기존에 연동되어 있는 제로 페이 어플들은 지원 불가하며 피플 제로 페이, 체크 페이, 머니트리 3개 어플만 지원 가능합니다. 국가에서 필사적으로 경기 안정을 위한 지원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서울 재난 긴급 생활비를 제로 페이로 선택 시, 10% 추가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 가능합니다.
한시적 소득 공제율 한시적 인상(3월 ~ 6월) 됩니다.
신용카드 15% → 30%
제로 페이, 체크카드 및 현금 영수증 30% → 60%
전통 시장 및 대중교통 40% → 80%